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평균 월급 363만원?" 대기업 vs 중소기업, 연봉 격차는?

by inkpage 2025. 2. 25.

"평균 월급 363만원?" 대기업 vs 중소기업, 연봉 격차는?

직장인 평균 연봉,월급

 

2023년 직장인들의 평균 월급이 363만원이라는 소식이 전해졌어요. 얼핏 들으면 ‘괜찮은 수준 아닌가?’ 싶지만, 물가 상승률(3.6%)을 고려하면 실질적인 소득은 줄어든 셈이에요. 특히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여전히 2배 가까이 난다는 점도 눈길을 끕니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의 실제 연봉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급여 차이는 얼마나 클까요? 오늘은 통계청이 발표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령대·업종별 평균 급여 수준까지 자세히 살펴볼게요!

 


🔥 대기업 vs 중소기업, 연봉 차이는?

직장인 평균 연봉,월급

 

지난해 직장인들의 평균 월급은 363만원이었어요. 전년 대비 2.7% 증가한 수준이지만, 물가 상승률(3.6%)을 감안하면 실질 소득은 줄어든 거죠. 특히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차이는 1.98배로 조사됐어요.

 

📌 기업 규모별 평균 월급

  • 대기업: 539만원 (전년 대비 +0.4%)
  • 중소기업: 298만원 (전년 대비 +4.3%)
  • 비영리기업: 349만원 (전년 대비 +0.9%)

눈에 띄는 점은 대기업의 연봉 상승률이 매우 낮다는 것이에요. 2023년 대기업의 월급은 고작 2만원(0.4%) 증가하는 데 그쳤어요. 반면 중소기업의 평균 월급은 4.3% 증가(12만원 상승)하면서 대기업과의 임금 격차가 조금 줄어든 모습이에요.

하지만 여전히 대기업 직원이 중소기업 직원보다 평균 1.98배 더 벌고 있다는 점에서 현실적인 격차는 상당하죠.

 


💰 가장 연봉이 높은 업종은? 금융·보험업 1위!

직장인 평균 연봉,월급직장인 평균 연봉,월급

 

그렇다면 어떤 업종이 가장 연봉이 높을까요?

 

📌 산업별 평균 월급 TOP 3
1️⃣ 금융·보험업: 753만원
2️⃣ 전기·가스·증기·공기 조절 공급업: 675만원
3️⃣ 국제·외국기관: 510만원

 

특히 금융·보험업은 예전부터 고연봉 업종으로 유명하죠. 하지만 지난해 금융·보험업 평균 연봉이 오히려 0.6%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어요. 대기업 연봉 상승률이 둔화되면서 업종 전체 급여에 영향을 준 거죠.

 

직장인 평균 연봉,월급직장인 평균 연봉,월급

 

📌 반대로 연봉이 가장 낮은 업종 TOP 3
1️⃣ 숙박·음식업: 181만원
2️⃣ 협회·단체·기타 개인 서비스업: 223만원
3️⃣ 농업·임업 및 어업: 243만원

 

숙박·음식업은 최저임금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업종이라 급여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아요. 하지만 2023년에는 5.2%나 인상되면서 저임금 업종의 월급 상승률이 대기업보다 더 높았어요.

 


🔥 남녀 연봉 차이, 여전히 1.5배

직장인 평균 연봉,월급

 

남녀 간 임금 격차도 눈여겨볼 부분이에요.

 

📌 성별 평균 월급

  • 남성: 426만원 (+3.0%)
  • 여성: 279만원 (+2.8%)
  • 남녀 임금 격차: 1.52배

남성 평균 월급이 여성보다 147만원 더 많은 수준이에요. 게다가 남녀 임금 격차는 2021년부터 3년 연속 증가하고 있어요.

물론, 남성 근로자가 많은 업종(제조업·건설업 등)과 여성 근로자가 많은 업종(서비스업·교육업 등)의 평균 급여 차이도 영향을 주겠지만, 여전히 성별에 따른 연봉 격차가 크다는 점은 생각해볼 문제예요.

 


📊 연령대별 평균 월급, 40대가 가장 많이 번다

직장인 평균 연봉,월급

 

나이에 따라 연봉 수준도 다를 텐데요. 2023년 기준, 가장 많은 월급을 받는 연령대는 40대였어요.

 

📌 연령별 평균 월급

  • 40대: 451만원 (최고)
  • 50대: 429만원
  • 30대: 386만원
  • 20대: 263만원
  • 60대 이상: 250만원
  • 19세 이하: 96만원 (최저)

흔히 ‘연봉 피크’가 40대 후반~50대 초반에 온다고 하는데, 통계에서도 비슷한 흐름을 보이네요.

반면, 20대 평균 월급이 263만원이라는 점도 눈여겨볼 부분이에요. ‘취업만 하면 300만원은 받을 줄 알았는데...’라는 말이 괜히 나오는 게 아니죠.

 


✅ 정리: 우리 월급, 앞으로 어떻게 될까?

✔️ 2023년 평균 월급은 363만원, 하지만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면 실질 소득은 감소
✔️ 대기업 vs 중소기업 연봉 차이 1.98배 → 대기업 연봉 상승률 둔화
✔️ 업종별 연봉 1위: 금융·보험업(753만원), 최저: 숙박·음식업(181만원)
✔️ 남녀 임금 격차 1.52배, 3년 연속 증가
✔️ 40대 평균 월급 451만원으로 연령별 최고, 20대는 263만원

 

올해 최저임금이 인상되면서 저임금 업종의 급여는 더 오를 가능성이 커요. 하지만 대기업 연봉 상승률이 둔화되는 분위기라서 전체 평균 연봉이 크게 오르긴 어려울 수도 있어요.

여러분의 월급은 어떤가요? 이번 통계를 보니, 현실적인 급여 수준을 더 깊이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것 같아요. 😮‍💨

반응형